< 일러스트 = 야구공작소 소혜린 >
“심판이 궁금해, 심궁해”는 현역 야구 심판이 심판에 대한 억울함을 스스로 해소하기 위해 직접 발 벗고 나서는 칼럼 시리즈입니다.
야구 심판과 규칙에 대해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이야기를 전달해 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평소에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을 남겨주세요.
시즌 최대 관중 신기록을 기록하는 등 KBO리그의 인기는 하늘을 치솟고 있다. 하지만 정확하고 공평한 판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시즌 내내 논란이 이어진다. 전반기에는 2023년에 이어 3피트 레인 수비방해 문제와 ABS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신뢰도가 중심이었다면, 후반기에는 체크 스윙이 화두에 올랐다. 이미 여러 명의 감독의 입에서 체크 스윙을 비디오판독 대상에 넣자는 의견이 나왔다.
체크 스윙에 대한 왈가왈부는 비단 올해만의 일도 아니고, 우리나라만의 일도 아니다. 하지만 유독 2024시즌 들어와 불만이 커지고, 더 나아가 비디오판독에 대한 목소리가 커진 배경에는 ABS의 도입이 크다고 생각한다. 작년까지 KBO리그에서 스트라이크와 볼은 규정상 기준이 있긴 했다. 그래도 전적으로 구심의 판단에 의해 결정됐다.
그러나 올해부턴 구심은 ABS가 판정한 결과를 통보하기만 하면 된다. 스트라이크와 볼이 심판의 고유 권한 그리고 불가역적인 판정이라는 심판원 재정의 기본 원칙, 공식야구규칙 8.02(a)의 최후의 보루가 무너졌다. 8.02(a)는 페어/파울, 스트라이크/볼, 아웃/세이프와 같은 심판원의 판단이 들어가는 재정은 최종이라는 원칙이다. 이미 비디오판독의 도입으로 세 개의 축 중 두 개가 무력화된 가운데, 2024년부터 KBO에선 나머지 한 축이 사실상 무의미해졌다.
체크 스윙은 한 경기에서 정말 많아 봐야 5번 나올까 말까 하지만, 승부와 직결된 상황에서 자주 나온다. 위와 같은 맥락 속에서 체크 스윙 판정도 성역에 남아있긴 어려워졌다. 감독들은 체크 스윙에 대한 정의가 야구 규칙에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비디오판독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체크 스윙에 대한 규정이 없는 만큼 ABS처럼 체크 스윙을 체크할 수 있는 측정 장비나 알고리즘이 존재하진 않지만, 적어도 느린 화면을 보고 다시 봐달라는 것이다.
체크 스윙이 그래서 뭔데?
체크 스윙에 대해 파고들기 전에 우선 명칭부터 정리하고 갈 필요가 있다. 영어로 Checked swing이라 하는 것은 사실 타자가 스윙한 것이 아니라 내다가 멈춘 것을 말한다. 텍사스 홀덤에서 선(先)이 베팅하지 않고 자신의 차례를 넘길 때 ‘체크’를 외치면서 테이블을 두 번 두들기는 것을 생각하면 쉽다. 우리나라에서는 체크 스윙을 곧 스트라이크로 인식하지만, 영어로 하면 결과는 반대로 볼이다. 타자가 치려다가 멈췄지만, 스윙으로 인정받는 상황을 영어로는 하프 스윙(Half swing)이라고 한다.
여러 언론에서 다뤘듯이, 공식야구규칙에는 체크 스윙에 대한 정의가 없다. ‘용어의 정의’ 72. 스트라이크에 보면 (a) 타자가 쳤으나(번트 포함) 투구에 배트가 닿지 않은 것은 스트라이크지만, 자세한 설명은 없다. 어디까지가 스트라이크가 되는 건지 규칙책엔 없다. 이는 야구의 기원으로 돌아가도 똑같다. 최초의 야구 규칙책부터 현재까지 프로야구 단계에선 스윙 혹은 체크 스윙에 대한 정의가 내려진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다만 공식야구규칙은 체크 스윙 판정이 났을 때 심판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매뉴얼은 수록되어 있다. 공식야구규칙 8.02(c)[원주]는 ‘하프 스윙 때 주심이 스트라이크를 선고하지 않았을 경우 감독 또는 포수는 스윙 여부에 대한 루심의 조언을 구할 것을 주심에게 요청할 수 있다’라며 주심이 루심의 의견을 물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시한다. 이어 하프 스윙에 대한 어필은 볼 인 플레이기에 야수와 주자가 바뀐 상황에 주의해야 한다고 이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체크 스윙 판정은 전적으로 심판의 주관에 달렸다. 체크 스윙의 기준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있다. 파울선의 연장선을 배트가 넘었는지 여부가 기준이 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에 타자의 손목이 틀어졌는지를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배트와 공이 교차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 반면에 타자가 치려고 한 의사가 있었다면 스윙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논리도 있다.
체크 스윙과 관련해서 MLB에서 가장 인상적인 논리 중 하나는 1941년부터 1965년까지 내셔널리그 심판으로 활동한 자코 콘랜의 주장일 것이다. 그는 1947년 보스턴 글로브와의 인터뷰에서 “타자는 온전한 스윙을 할 권리가 있기에 반쪽짜리 스트라이크는 부르지 않는다”면서 타자가 완전하게 스윙하지 않는 이상 체크 스윙으로는 스트라이크를 줘선 안 된다고 말했다.
< 반쪽짜리 스트라이크는 부르지 않는다 – 자코 콘랜. The Boston Globe, 1947. 07. 13. 31면 우상단>
정말 정의된 내용이 없나?
하지만 프로야구 규칙에서 체크 스윙에 대한 정의가 아직 없을 뿐이지 다른 규칙책에선 체크 스윙의 정의가 존재한다. 미국 대학야구 NCAA 규칙책은 타자가 스윙을 어떻게 하면 스트라이크가 되는지 명확하게 정의했다.
NCAA Baseball 2023 and 2024 Rules Book
2장. 정의
39항. 하프 스윙: 타자가 스윙하면서 전진하는 배트를 멈추려는 행동은 스트라이크로 불릴 수 있다. 만약 배트의 배럴 끝이 타자의 골반 앞을 통과하면 스트라이크다. 타자가 번트하려던 배트를 뒤로 물릴 땐 하프 스윙이라고 보지 않는다.
2010년 규칙까지는 ‘배트의 배럴 끝이 홈플레이트의 앞쪽 변을 통과’하는 것도 하프 스윙으로 인정받아 스트라이크가 됐었다. 그러나 이 규칙은 현장에서 판정하는 심판이 볼 수 없다는 이의가 제기되어 2011년 규칙부터 삭제됐다. 체크 스윙이란 표현이 하프 스윙이란 표현으로 바뀐 것도 2011년부터이다.
그러나 이런 근거가 있다고 하더라도 최종 판정은 심판이 내리기에 논란의 대상이 되곤 한다. 가장 최근에 큰 논란으로 이어진 판정은 2024년 칼리지 월드 시리즈 개막전, 플로리다 주립대와 테네시의 경기에서 나왔다. 9회말 11:9로 뒤진 테네시의 공격, 타자 블레이크 버크는 2사 23루에서 2-2 카운트에 몰린다. 그리고 5구 낮은 공에 버크는 방망이를 내려다가 아래 사진처럼 참았다. 이 공은 볼 판정을 받았고, 버크는 7구 승부 끝에 동점 적시타를 쳤다. 그리고 테네시가 끝내기를 완성했다. 버크의 체크 스윙은 느린 화면으로 봤을 때 분명 배트 끝이 골반 앞쪽 부분을 넘어갔다.
< 블레이크 버크의 스윙은 NCAA 규칙책에 따르면 스트라이크가 돼야 했었다. 출처 = Just Baseball >
경기가 끝난 후 플로리다 주립대의 감독 링크 제럿은 체크 스윙 판정이 정말 어려운 판정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수많은 카메라가 설치된 상황에서 기술의 도움을 받아 체크 스윙도 판독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패장의 재럿 감독의 주장은 많은 지지를 얻었다. 왜냐하면 NCAA에는 체크 스윙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있기 때문이다.
2019년 MLB는 협업하는 독립리그이자 미래에 도입할 각종 규칙을 시험하는 장인 애틀랜틱 리그(Atlantic League)에서 체크 스윙에 대한 실험을 시도했었다. 상기한 공식야구규칙 8.02(c)[원주] 부분에 “루심은 공을 치려는 타자의 손목이 돌아갔는지를 판정해야 하며, 돌아가지 않았다면 볼이다”라는 문구를 추가해 체크 스윙을 판정하는 기준을 마련했었다. 그러나 이런 시도는 오래가지 못했다. 링크된 영상에서 데이브 발레가 설명하는 것처럼 타자가 배트에 공을 맞히기 전까지 보통은 손목이 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판정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기엔 미흡했다.
체크 스윙에 더 상세한 소프트볼
그러면 이외에 규칙책에 명시된 다른 체크 스윙은 없을까? 야구는 아니지만 있다. 던진 공을 배트로 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소프트볼에선 더욱 자세하게 체크 스윙이 무엇인지를 정의한다. 미국의 성인 소프트볼을 주관하는 USA Softball, 대학 소프트볼을 주관하는 NCAA, 고등학교 소프트볼을 주관하는 NFHS 모두 체크 스윙에 대한 규정이 있다. 세 종의 규칙책이 표현과 순서는 살짝 다르지만, 공통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준을 가진다.
USA Softball 2024
보칙 10. 체크 스윙 / 번트 스트라이크
타자가 투구에 스윙했는지 아니면 스윙을 멈췄는지 판단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기준이 있다.
- 타자의 손목이 돌아갔는가?
- 공이 도달하기 전에 돌려세운 것이 아닌 한, 타자가 공을 따라 스윙하고 배트를 다시 돌려세웠는가?
- 배트가 타자 몸보다 앞에 있었는가?
- 타자가 투구를 때리려고 시도했는가?
기준 A가 상술한 애틀랜틱 리그에서의 기준과 동일한 것이라면, 기준 B는 소프트볼만의 특수한 스윙 방식인 슬랩하고 연관된 것이다. 슬랩은 주로 좌타자가 사용하는 방법으로, 타자가 타석에서 전진하면서 치는 방식이다. 전진하면서 동시에 번트하는 듯 타격하는 슬랩은 자연스럽게 타자와 공이 마주하는 지점을 앞으로 당긴다. 따라서 슬랩하던 타자가 타격하지 않았을 때 공이 도착하는 순간과 그때 배트의 위치가 어떠한지 중요하다.
기준 C는 NCAA 야구 규칙에서 배트의 끝이 타자의 골반 앞쪽과 비교해 어디에 있었는지를 보는 것과 유사한 기준이다. 기준 D는 공을 피하려고 하다가 배트가 돌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NCAA 소프트볼 규칙책에는 ‘타자가 치려는 시도가 아니라 몸에 맞는 공을 피하려 했다면 체크 스윙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라고 서술한다.
야구보다 투수와 타자와의 거리가 더 짧고, 야구보다 더 압도적인 투고타저 운동인 소프트볼에선 헛스윙과 체크 스윙이 야구보다 더 자주 나온다. 따라서 소프트볼은 위와 같은 네 가지 기준을 마련했다. 물론 여기서도 체크 스윙을 최종적으로 판정하는 주체는 구심과 구심의 문의를 받은 루심이다.
그래서 판독을 시작한다면?
그럼 다시 KBO로 돌아와서 생각해 보자. 체크 스윙에 대한 비디오 판독 요구가 거세지는 KBO가 이 요구를 수용하려면 세 가지 문제를 선결해야 한다. 첫째, 체크 스윙을 정의해야 한다. 둘째, 정의에 따라 체크 스윙을 확인할 장비를 갖춰야 한다. 셋째, 일부 감독들의 주장처럼 체크 스윙을 일반 비디오 판독과는 별도로 요청 횟수를 관리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KBO에 적합한 가장 단순하고 명확한 체크 스윙의 정의는 다름 아닌 NCAA가 포기한 방식, 배트의 배럴 끝이 홈플레이트의 앞쪽 변을 통과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좌우 파울선에 선 루심의 시야에서 이를 확인하긴 어렵지만, 카메라의 도움을 받으면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다.
혹자는 타자가 타석 가장 뒤에 서 있다면 배트 끝이 돌았는데도 불구하고 홈플레이트의 앞쪽 변을 통과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정말 스탠스가 좁거나 체구가 작은 선수가 아닌 이상 홈플레이트 앞쪽 변 뒤에서 스윙이 돌지 않는다. 또한 그 선수의 스탠스를 고려해 앞쪽 변과 평행한 선을 뒤로 당겨와 판정할 수도 있다.
이 방식의 또 다른 장점은 야구를 하고 보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인식과 합치한다는 것이다. TV 중계 화면에서 체크 스윙인지 아닌지를 보여주는 장면으로 타자 측면을 보여주곤 한다. 중계진과 시청자는 거기서 배트 끝이 홈플레이트를 넘어갔는지를 보고 돌았다, 돌지 않았다를 판단한다. 분명 규칙책 어디에도 쓰여있지는 않지만, 관습적으로 우리는 아래와 같은 채은성의 스윙이 돌았다고 생각한다.
< 2024년 6월 23일 한화와 KIA의 경기에서 나온 채은성의 체크 스윙 장면. 볼로 판정됐다. 출처 = KBS >
체크 스윙을 확인하기 위한 장비와 관련해 KBO는 체크 스윙을 확인할 카메라 설치가 쉬운 일이 아니라고 인정했다. 이 점에는 물론 공감하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측면이든 스카이캠이든 홈플레이트를 바라보는 카메라가 보강된다면 체크 스윙 외에도 홈에서의 접전 상황도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근거가 생겨날 것이다.
체크 스윙에 대한 비디오 판독을 마치 홈런/파울 판정처럼 별도로 관리하자는 주장은 좀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체크 스윙 판독은 일반 비디오 판독 대상으로 넣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MiLB에서 스트라이크/볼에 대한 챌린지 숫자를 일반 비디오 판독 신청 횟수와 별도로 관리하는 것처럼, 경기당 2회 정도로 기회를 주는 방식도 검토할 만하다. 현행 KBO의 ABS 방식이 전자동 방식이 아니라 챌린지 방식이었다면 스트라이크/볼 챌린지에 체크 스윙을 통합해 운영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 얼룩소, Newspapers.com, NCAA, ESPN, Rivals.com, Atlantic League, MLB, USA Softball, KBS, 스포츠서울
야구공작소 이금강 칼럼니스트
에디터= 야구공작소 익명, 전언수
일러스트 = 야구공작소 소혜린
ⓒ야구공작소. 출처 표기 없는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상업적 사용은 별도 문의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