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덕주의 불펜 기용, 혜안과 근시안 사이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투구를 준비하는 함덕주, 이제는 더 이상 이 그림이 어색하지 않다
(사진 제공= 두산 베어스)


[야구공작소 김준호] 어린 투수 유망주의 날갯짓을 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그러나 10년쯤 전의 야구팬들 사이에서는 그리 드물지 않았던 이 즐거움은 해가 지나면서 점차 드문 경험이 되어버렸다.

 

2017년은 간만에 투수 유망주들의 동시다발적인 성장을 목격할 수 있었던 한 해였다. 함덕주, 박세웅, 최원태 그리고 장현식과 구창모까지. 이들은 적지 않은 이닝을 효과적으로 투구하면서 팬들에게 큰 기대를 안겨줬다.

 

빼어난 탈삼진 능력(K/9 9.11)을 앞세워 수준급의 기록을 남겼던 함덕주의 2017년은 이들 중에서도 특히 인상적이었다. 함덕주는 기대주 시절의 김광현과 양현종보다도 훌륭한 성적을 올렸고, 그들이 본격적인 질주를 시작한 이후 보여준 폭발적인 모습에 버금갈 정도의 위력을 과시했다. 팬들은 자연스레 함덕주에게서 차기 두산의 선발진을 이끌 에이스의 향기를 느꼈다.

 

그러나 사람들의 예상과는 한참 다른 소식이 들려왔다. 함덕주의 올 시즌 보직이 불펜 투수로 결정됐다는 소식이었다. 물론 함덕주의 불펜 기용이 처음 있는 일은 아니었다. 함덕주는 데뷔 시즌 당시에도 불펜에서 한 해를 보냈고, 작년 포스트시즌에서도 불펜으로 존재감을 뽐냈다. 하지만 리그를 대표하는 좌완 선발 유망주로 떠오른 지금의 입지를 생각하면 분명 의아한 구석을 남기는 결정이었다.

 

그렇다면 함덕주의 불펜 기용은 어떤 이유로 인해 내려진 결정이었을까?

 

 

불안해진 불펜을 고려한 투수진 편성

 

 

함덕주의 불펜행은 선발진 내부의 사정으로 인한 결정이 아니었다. 이번 오프 시즌, 두산의 선발진은 새로운 외국인 투수의 영입 외에는 이렇다 할 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문제는 불펜이었다. 지난 시즌의 두산은 마무리 투수 자리를 두고 이현승, 이용찬, 김강률이라는 세 명의 투수가 달려들어야 했을 정도로 ‘뒷문 단속’에 애를 먹었다. 김강률이 자리를 잡으면서 마무리 투수 보직은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았지만, 이번에는 셋업맨 자리에 공백이 발생했다.

 

마침 두산은 선발과 불펜 어느 쪽에서도 활약해줄 수 있는 투수를 둘이나 보유하고 있었다. 함덕주와 이용찬이 바로 그들이었다. 이 둘의 보직을 효과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선의 투수진을 구축하는 것이 이번 오프시즌 두산의 최대 과제였다.

 

 

선발에서 좋았다, 그런데 불펜에선 더 좋았다

 

지난 시즌 함덕주는 모든 면에서 빼어난 성적을 올렸다. 탈삼진 능력은 발군이었고, 평균자책점(3.67, 10위)과 FIP(3.91, 6위) 등의 다른 주요 지표들 역시 흠잡을 데가 없었다. 그런데 함덕주의 지난 시즌 성적은 아주 흥미로운 편차를 담고 있다. 아래는 함덕주가 지난해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에서 각각 불펜 투수로 등판했을 때의 성적이다.

 

 

이처럼 불펜에서의 함덕주는 기록이든 임팩트든 흠잡을 데가 없는 모습이었다. 2015시즌에는 괜찮은 모습을 선보이다가도 중요한 상황마다 큰 홍역을 치렀는데, 올해는 마지막까지도 견고함을 잃지 않았다. 지난해 메이저리그에서는 강력한 불펜으로 경기 중반 이후의 승부처를 틀어막는 트렌드가 포스트시즌을 휩쓸었다. 함덕주는 이러한 트렌드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준 특급 불펜 투수였다.

 

2015시즌 시구를 지도하던 앳된 함덕주, 이때의 모두가 함덕주의 지난 시즌을 예상하진 못하였을 것이다(사진 제공= 두산 베어스)

 

 

이용찬은 선발 투수가 적성이다

 

이용찬은 분명 나쁜 불펜 투수는 아니다. 이용찬 자신부터가 선발보다는 불펜 보직에 자신감과 애착을 드러낸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불펜 투수로서의 이용찬은 예전이나 근래에나 ‘2%’가 부족한 선수였다. 데뷔 초인 2009시즌과 2010시즌 각각 20세, 21세의 어린 나이로 리그 구원왕 경쟁에 뛰어들면서 잠재력을 뽐냈지만, 막강했던 두산 불펜진의 ‘보호’를 받아 세이브를 챙겼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두 시즌 동안 단 81.1이닝을 소화하면서 51세이브를 쌓았다는 점이 이 주장의 설득력을 확인시켜준다. 막아낸 이닝의 내용 역시 썩 만족스럽지 않았다(FIP+ 2009시즌 105.8, 2010시즌 92.5). 이용찬은 결국 ‘0.1, 0.2이닝만을 막아내며 쉽게 세이브를 올린다’는 뜻을 지닌 ‘양아치 세이브’라는 신조어의 희생양이 되었다.

 

마무리 보직으로 복귀한 최근 두 시즌 동안의 투구 역시 그때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주자가 있을 때면 두 배 가까이 높아지는 볼넷 허용률(5.1%->10.0%, 각 상황 250타석 이상)과 매 시즌 1.4 이상을 기록한 WHIP 같은 기록들은 팬들의 불안이 ‘실체 없는 공포’가 아니었음을 증명해준다. 결국 지난 시즌에는 마무리 자리를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중도에 교체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경기 마무리 후 안도의 하이파이브를 하던 이용찬, 2014시즌(사진 제공= 두산 베어스)

 

반면 선발 투수로서의 이력은 생각 이상으로 준수한 편이다. 2011시즌을 기점으로 선발 전환을 시도한 이용찬은 2012시즌, 단 23세의 나이에 훌륭한 풀타임 선발로 자리 잡았다. 3.00의 평균자책점은 그 자체로도 충분히 인상적이었고, 여기에 완투 3회와 평균 이닝 6.23이닝을 곁들이며 빼어난 체력까지 뽐냈다. 그해 투수 골든 글러브를 수상했던 장원삼과 견줘도 부족함이 없는 성적이었다. 지난 시즌의 함덕주가 보여준 활약도 이 당시의 이용찬에 비하면 빛이 바랜다.

 

때문에 함덕주가 셋업맨으로 활약하며 불펜의 중심을 잡고, 이용찬이 선발진이 합류해 예전의 모습을 재현하도록 만들겠다는 김태형 감독의 복안은 그리 비합리적인 결정이 아니다. 현재의 살림으로 나름의 ‘최적화’를 실현하기 위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팀의 미래, 그리고 함덕주의 미래

 

그런데 당장 올 시즌의 살림을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구도가 많이 달라진다. 확실한 선발 투수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선수를 불펜 투수로 전환시키는 것 자체가 매우 드문 일이기 때문이다. 최근 10년간 선발로 준수한 시즌(120이닝 이상 소화, ERA+ 115 이상 기준)를 보낸 23세 이하의 어린 투수가 이듬해 불펜 투수로 전환한 경우는 한 차례도 없었다. 메이저리그까지 조사의 범위를 넓혀도 결과는 같다. 그만큼 에이스로 성장할 가능성을 지닌 선발 투수 유망주는 귀한 대접을 받는다.

 

강력한 불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불펜 투수의 가치가 점차 올라가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펜 투수와 선발 투수의 가치에는 여전히 현격한 차이가 있다. 메이저리그에는 앤드류 밀러와 같은 특급 유망주 출신의 불펜 투수들이 적지 않지만, 이들은 대부분이 선발 기회를 충분히 받았음에도 고전을 거듭하면서 어쩔 수 없이 보직을 전환하게 된 경우다. KBO리그에서도 젊고 유망한 선수가 선발에서 불펜으로 보직을 옮긴 경우는 조상우, 이민호처럼 선발 적응 과정에서 부침을 겪었던 사례뿐이다.

 

 

불펜 투수로 성공을 거둔다고 해도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보직이라는 문제가 남는다. 국내에서 순수하게 불펜 투수로 활약하면서 제 실력을 유지하며 FA 자격을 취득하는 선수는 얼마 되지 않는다. 그 이후의 수명도 길지 않다. 선수마다 FA 계약 기간의 차이가 큰 메이저리그의 경우, FA 시장에서 불펜 투수가 얻어가는 계약 기간은 선발 투수들의 계약에 비할 것이 되지 못한다. 불펜 투수들은 그만큼 언제든 대체될 수 있는가능성이 높은 자원들이다.

 

에이스로 성장할 수 있는 선수를 당장의 사정 때문에 불펜으로 보낸다는 것은 결국 이런 위험부담을 감수한다는 뜻이다. 심지어는 불펜 전환 이후의 성적이 선발로서의 모습보다 나을지도 장담할 수 없고, 나중에 이 선수를 다시 선발 투수로 전환시킬 때에도 위험부담을 떠안아야만 한다.

 

차우찬은 선발과 불펜, 각자의 마운드에서 어떤 생각들을 해왔을까(사진 제공= 삼성 라이온즈)

 

차우찬의 커리어는 선발 유망주를 대할 때는 장기적 시각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드러내 주는 사례다. 차우찬은 선발 보직에서 확실히 가능성을 보여줬음에도 팀 사정에 따라 계속해서 불펜 보직을 오갔고, 2014시즌에는 완전히 불펜 투수로 보직을 변경하기도 했다. 이 시즌의 불펜 전환은 성적과 성장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친 선택이었고, 차우찬은 결국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선발 투수로 복귀하게 됐다. 다행히도 그 뒤로는 꾸준히 선발 투수로 출격하면서 기대에 부응하는 에이스급 좌완 투수로 자리 잡았지만, 처음부터 정도(正道)를 걸었다면 더 일찍부터 좋은 장면들을 보여줬을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물론 함덕주의 이례적인 불펜행 결정에는 추측해본 이유들 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고려되었을 수 있다. KBO리그의 좌완 불펜투수가 지니는 유별난 수준의 희소성이 감안되었을 수도 있겠고, 올해 열리는 아시안게임 승선을 감안한 포석이었을 가능성도 있겠다. 어쩌면 외부에서는 파악할 수 없는 모종의 요인들로 인해 결정된 사안인지도 모른다.

 

어떤 이유에서 내린 결정이든, 그 결정은 각자의 가치관과 논리를 담고 있다. 그리고 이런 결정들은 팀과 선수 모두의 미래를 좌우한다. 어떤 선수들은 팀의 사정 때문에 자신의 몸을 불사르고 무대의 뒤편으로 사라지기도 한다. 반대로 팀에서 내린 사소한 결정이 성공적인 커리어의 시발점이 된 경우 역시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한 선수의 인생을 좌우할 수 있는 결정인 만큼, 결정권을 지닌 이들은 한층 더 신중히 고민해야만 할 것이다.

 

기록 출처: Statiz, Fangraphs

 

에디터=야구공작소 이의재

 

Be the first to comment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