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차 아기 독수리 문동주의 비상

​< 일러스트 = 야구공작소 이재성 >

신인 드래프트는 한 구단의 한 해 농사를 넘어, 향후 10년 이상까지를 결정지을 수 있는 야구계에서 중요한 행사다. 특히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는 팀의 ​​즉시전력감 또는 미래로 ​​기대를 ​​가장 많이​​ 받는다.​

​2022년 신인드래프트, 한화는 1라운드에서 전국 단위 지명권을 행사해 광주진흥고등학교 투수 문동주를 지명했다. ​​당시​ ​문동주는 ​​계약금 5억 원의 1차 지명 최대 금액 및 한화 신인 역대 3위 금액을 기록하며 많은 기대를 받았​​다. 하지만​​ 당해 부상까지 겹치며 13경기 1승 3패 ERA 5.65​​로​​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했다.​

​경험을 쌓고 절치부심한 문동주는 2023년, 한화의​​ 토종 1​​선발 투수​​로 자리 잡았다​​. 또한​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로 차출됐고 2023 KBO 신인왕의 유력한 후보로도 언급​​된​​다. 과연 그에게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높아진 커브 활용도

​문동주는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투수로 본격적으로 전향했다. 그래서 고교 시절까지 던질 줄 아는 변화구가 많지 않​​았다. 또한​​ 완성도​​도​​ 높지 않았다. 그래서 2022년 문동주의 투구에는 ​​패스트볼​​의 의존도가 높았다.​

​밋밋한 변화구로 카운트를 잡으러 존에 넣으면 타자에게 ​​공략당할 ​​확률이 높다. 지난해​ ​문동주는 57.8%를 ​​패스트볼​​로 구사하는 ​​패스트볼​​ 위주의 투구를 가져갔다​.​ 밋밋했던 변화구는 대부분 유인구로만 사용했다. 특히 ​2구종이었던 커브는 낮은 코스 구사율이 76%를 기록할 정도로 낮은 유인구 활용에 집중했다.

< 2022년 커브 구사 위치 (투수 시점), 단위 : % >

​하지만 ​​패스트볼​​ 위주에 유인구를 던지는 단조로운 패턴은 타자들에게 위협적이지 않았다. ​​타자들은 ​​완성도가 높지 않은 커브 등 변화구​​를​​ 가볍게 버리고 ​​패스트볼​​만 노리는 타격으로 문동주를 공략​​했다.​ ​결국 ​​주 무기 ​​패스트볼​​의 피​​안타율​​이 0.327, 피OPS가 0.919를 기록하며 문동주에게 완성된 제2 구종의 필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했다.​

​2022년 6월, 문동주는 견갑하근 부상으로 1군에서 말소된 후 휴식과 재활을 병행하며 최원호 당시 2군 감독 지도하에 커브의 완성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이후 최원호 2군 감독이 ​재활 기간 동안 문동주의 커브 구사 능력이 좋아졌다고 칭찬​했다(링크).​

​재활을 마친 문동주는 2군에서 선발 등판하며 1군 복귀를 준비했다. 이를 보며 수베로 감독은 ​문동주의 커브 완성도가 높아진 점을 주목했다(링크). 커브 각이 예리해졌다고 평가했다(링크). ​이후 남은 22년 시즌을 치르고 ​호세 로사도 한화 투수 코치는 커브는 이미 리그에서 손꼽히는 수준​이라며 문동주의 커브​​ 완성도가 높아졌음을 언급했다(링크).​

​완성도가 높아진 커브는 위력 있는 제2 구종의 역할을 하기에 충분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3년에 문동주는 커브의 구사율을 6.7%P만큼 높여 패스트볼 의존도를 낮췄다.

< 구종 구사율, 단위 : % >

​그러나 단순히 커브 구사율이 높아졌다 해서 투구 패턴이 변했다고는 할 수 없다. ​작년과 가장 큰 차이는 커브를 카운트 잡는 용으로도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더 이상 밋밋하지 않은​ ​커브는 타자의 타이밍을 뺏기에 충분​​했다.​​ 이에 문동주는 ​​커브를 ​​존에 집어넣어 카운트를 잡는 용도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커브의 ​Zone​%가 작년 대비 1​0.7​%P만큼 증가했다. 초구 커브 구사율​​도​​ 작년 대비 ​14.4​%P 상승했다. ​​둘​​을 조합해 본다면 카운트를 잡는 데에 커브의 사용 빈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이상 커브는 유인구로서의 역할만 하지 않게 된 것이다.​

< 커브 비율, 단위 : % >

​달라진 커브는 ​​문동주에게 날개를 달아줬다. 타자들은 이제 ​​패스트볼​​만 노리는 타격을 할 수 없었​​다.​​ 결국​ ​주 무기인 ​​패스트볼​​의 피​​안타율​​이 0.2​56​, 피OPS가 0.70​​6으​​로 작년보다 매우 ​​개선됐다​.​ 커브가 제2 구종의 역할을 톡톡히 해​​준 것이​​다.​

 

안정된 제구력

​문동주는 고교 시절에도 150km/h를 상회하는 빠른 ​​패스트볼​​를 던지는 투수였다. 구속뿐 아니라 회전수도 ​최고 2,378rpm​에 달했​​다(링크). 그러나 강속구 투수는 이전에도 많았다​​. 그리고​​ 매번 그들에게는 제구 물음표가 따랐다.​

​문동주도 예외는 아니었다. 1군의 벽이 높았던 탓인지 2022년 문동주는 제구에 난조를 겪었다. 헛스윙 비율이 30.5%로 리그 평균보다 8.8%P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구위에 장점은 ​​뚜렷했다. 하지만​ BB% 리그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2023년 문동주는 달라졌다.​ ​BB%가 작년보다 2.7%P 감소했으며 올해 리그 평균보다도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제구 성장이 눈에 띄게 이뤄진 덕분이다.​

< 22, 23년 문동주와 리그 평균 BB%, 단위 : % >

​하지만 제구에 초점을 두게 되면 더 섬세하게 공을 던지려 하다 구속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래서 오히려 타자에게 치기 쉬운 공이 되는 역효과를 내기도 한다. 그러나 문동주는 작년과 전체 구종의 평균 구속엔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제구를 보완했다.​

​이는 ​가다듬은 변화구를 토대로 한 투구 패턴의 변화가 가장 유의미했다.​ 작년 대비 커브의 Zone%가 증가했고 슬라이더도 42.2%로 13%P 증가했다. 즉, 위에서 언급했듯 카운트를 커브 등의 변화구로 잡는 타자 타이밍을 뺏는 투구 패턴의 추가가 성과를 거둔 것이다.​

공격적인 피칭 스타일도 한몫했다.​ 초구의 Zone%가 작년 대비 4.5%, ​2S 이후는 18.6%나 증가했다.​ 유인구 승부가 아닌 공격적인 승부의 횟수가 증가했다는 뜻이다. ​안 좋았을 땐 항상 불리한 볼카운트에 몰리면서 끌려다니는 경향이 있었는데, 지금은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피해 가지 않는 승부를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결과도 좋게 나오고 있다​고 문동주는 좋은 성적의 이유를 밝혔다(링크).​

< 22, 23 2S 이후 구사율(투수 시점), 단위 : % > 

성장하고 있는 문동주

​문동주는 이제 전업 투수로 활동한 지 4년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현재 리그 유망주 중 ​​수준​​급의 활약을 하고 있​​다.​​ 리그 전체로 봐도 두드러진 활약이다. 수베로 감독 체제의 리빌딩이 끝난 후 최원호 감독 체제에서​ ​성적을 내야 하는 한화엔 ​​절대 없어선 안 되는 선수다.​

​많은 이들이 문동주를 안우진에​​게​​ 비교하곤 한다. 안우진도 강속구를 가진 투수였지만 결국 제구에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좋은 구위를 바탕으로 ​​제구에 보완을 거친 결과​​ 국내 최고의 투수로 불리고 있다. ​“160km보다 중요한 건 제구다.” 문동주와 같은 경험을 했던 안우진이 했던 말이다(링크).

​아직 제구 쪽에서 문동주를 완벽한 투수라고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제구가 더 보완​​될 경우​​ 어쩌면 안우진보다 더 높은 수준의 투수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성장세만 보더라도 2년 차 안우진보다 더 가파르다.​

​올해 문동주는 9월 3일 등판을 마지막으로 시즌을 조기 종료했다. 아시안 게임의 이유도 있지만, 한화의 ‘120이닝 제한’으로 미래를 위한 관리 때문이다. 문동주의 잠재력과 이 정도 급 팀의 관리가 합쳐진다면 앞으로 그의 성장은 감히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가파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동주가 과연 ​​안우진을 넘는 국내 최고 투수로 성장할 수 있을지 기대하며 지켜보자.​

 

​참고 = STATIZ​

​야구공작소 장호재 칼럼니스트​

​에디터 = ​​야구공작소 양재석, 전언수​

​일러스트 = ​야구공작소 이재성

​ⓒ야구공작소. 출처 표기 없는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상업적 사용은 별도 문의 바랍니다.

1 Comment

댓글 남기기